다락방

미네르바의 부엉이 VS 갈리아의 수탉

페르소나 ^^ 2018. 12. 18. 22:37

 

헤겔 '미네르바의 부엉이' 


 VS 


칼 마르크스 '갈리아의 수탉'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로마신화에서 미네르바와 항상 함께 다니는

신조(神鳥)로 지혜의 상징이다.


원래 미네르바의 신조는 까마귀였는데

오비디우스(Ovidius)<변신이야기>에 따르면

까마귀는 미네르바의 비밀을 누설한 죄를 짓고

신조의 자리를 부엉이에게 내주었다고 한다.

 

 

 

 

 

 

 

 

19세기 독일의 철학자 

헤겔(Friedrich Hegel)

그의 저서 <법철학> 서문에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저물어야 그 날개를 편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는데

미네르바의 부엉이가 낮이 지나고

밤에 그 날개를 펴는 것처럼

철학은 앞날을 미리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이뤄진 역사적 현상이 지나간 이후에야

그 뜻이 분명해진다는 의미이다.

 

인식이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우리 인간의 욕망은

변화의 속도만큼이나 빨리 움직이지만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인식하고

학문적으로 설명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야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간사에서 일어나는 많은 문제는

욕망과 인식의 속도차이에서 발생한다.

 

오늘날 변화의 속도가 워낙 빨라서

인간의 인식과 지식과 학문이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

 

그에 따라 지식과 학문이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뒷북만 치고 있다.

변화를 따라가기에도 숨이 찬다.

 

 

 

 

 

 

 

 

수탉이 울면 새벽이 오고

얼마 지나지 않아 

동이 트면서 태양이 떠오른다.


시계가 없었던 시절 

수탉은 새벽의 전령사(messenger)였다.


어둠의 공포에서 벗어나 

밝은 낮으로 가는 길목에서

수탉은 항상 밝은 아침이 

멀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신비한 존재였다

 

서양인들은 갈리아지역(지금의 프랑스)

닭의 원산지라고 생각해서

닭을 갈리아의 새라고도 불렀다.


갈리아인들은 

고대부터 수탉을 새벽의 신으로 신성시했다.

 

 

헤겔의 미네르바의 부엉이개념에 맞서

칼 마르크스(Karl Marx)가 제기한 개념이

바로 갈리아의 수탉(Gallia Rooster)’이다.

 

마르크스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수탉이 새벽에 울어 세상을 깨우듯이

철학도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

 

철학이 뒷북이나 치고 앉아 있다면

그건 죽은 학문이라는 것이다.

 

헤겔이 말한 것처럼

철학이 현실이 다 지나간 다음에야

겨우 이론을 정립하는 늙은이 학문이 아니라

현실이 오기 전에 그것들을 인식하고

설명하는 선도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지금까지 철학자들은 


단지 세계를 다양하게 해석해 왔을 뿐이지만,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마이사이트


https://dreambiz.mynuskin.co.kr 


#미네르바의부엉이 #갈리아의수탉